변수 3

[java] 변수 - 형변환(Type Casting)

값의 종류 즉, 자료형을 바꾸는 개념 컴퓨터 안에서 값을 처리하는 규칙 1. =(대입연산자)를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이 같은 자료형이여야 한다. 같은 자료형에 해당되는 리터럴 값만 대입이 가능하다. 자료형이 다를 경우에는? 값을 바꿔서 대입해야 한다 2. 같은 자료형들끼리만 연산이 가능하다.만들어줘야 한다. 다른 자료형끼리 연산을 하고싶다면 ? 둘 중 하나는 “형변환”을 해서 나머지 하나와 동일하게 만들어줘야 한다. 3. 연산의 결과도 같은 자료형이여야 한다. ex) 1+1=2(정수), 1.1+1.1=2.2(실수) [표현법] ( 바꿀 자료형 ) 값 ﹂형변환 연산자, cast 연산자 형변환의 종류 -자동 형변환(promotion) 자동으로 형변환이 진행 내가 형변환을 할 필요가 X 작은 크기의 자료형 =>..

*JAVA* 2021.10.19

[java] 변수 - 자료형

1. 논리형(boolean) 논리형 자료형에는 true, false가 존재함 2. 숫자형 정수형에는 4가지 유형이 있음 정수형 예약어 byte, short, int, long 형이 있고 int형을 주로 사용하면 된다. 정수형은 10진수 뿐만아니라 2진수, 8진수, 16진수를 표현할 수 있음 정수형의 기본형 int이고 long형을 사용할때는 할당할 숫자 뒤에 "L"을 붙여야 함 실수형 2가지 유형이 있음 실수형 예약어 float, double 3. 문자형 char 4. 문자열형 String (앞에 's' 꼭 대문자로 해줘야함, 클래스이기때문)

*JAVA* 2021.10.19

[java] 변수(Variable)

변수 메모리(RAM)에 어떠한 데이터값을 저장할 공간 변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변수는 값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 => 가독성 높여줌 단 한번의 값을 기록함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재사용이 가능 => 재사용성 높여줌 가독성과 재사용이 높아짐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해짐 변수 선언 메모리(RAM)에 어떠한 데이터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할당하는 것 int pay; ⇒ 변수 타입(자료형) 변수이름; 같은 타입의 변수를 선언할 때는 한꺼번에 선언할 수 있음 ex) int pay, day, time; 변수를 선언하고 난 뒤에 처음 값을 저장하는 것을 초기화(initialization)라고 함 초기화를 진행하여 넣어준 값을 초기값이라고 함 식별자(Identifier) 식별자는 클래스명, 메소드명, 변수명 등 사용..

*JAVA* 2021.10.19